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2) N
    • 호학당 이야기 (69)
      • 공지사항 (4)
      • 도전 스타트업 (7)
      • 책과 밑줄 (58)
    • 호학당이 일하는 법 (19) N
      • 호학당과 같이 일하기 (1)
      • 조금 아는 거로 있어 보이기 (11)
      • 모르는 것과 친해지기 (7) N
    • 같이 배우는 공부방 (3)
      • 교육자료 (3)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내 정보를 변경하려고할 때 왜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할까? (Feat.세션, 토큰)

    2025.10.17 by 호학당

  • 프로젝트 설계자

    2025.09.01 by 호학당

  • 지능의 기원

    2025.08.08 by 호학당

  • 인증, 인가, 그리고 RBAC: UX 기획자를 위한 ‘권한 설계’의 기본

    2025.07.31 by 호학당

  • 신뢰를 설계하는 UX: 기획자를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3대장 실무 가이드

    2025.07.23 by 호학당

  • UX 기획자에게 Computational Thinking이 필요한 이유

    2025.07.11 by 호학당

  • UX 기획 관점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ISMS-P 인증

    2025.06.22 by 호학당

  • 데이터의 생성과 Back-Office

    2025.05.06 by 호학당

내 정보를 변경하려고할 때 왜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할까? (Feat.세션, 토큰)

UX 기획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사용자의 영혼 담긴 외침. "아니, 로그인했는데! 내 정보 좀 바꾸겠다는데 왜 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거야? 나 못 믿어?!!" 네... 사실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서비스를 만드는 입장에서 사용자를 못 믿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로그인된 환경'을 믿지 못하는 거죠. 이 짜증 나는 화면 뒤에는 사실 사용자의 소중한 정보를 지키려는 개발자들의 눈물겨운 노력이 숨어있답니다. "그래서 이게 왜 이렇게 된 건데?"라고 개발자에게 물어보기 전, 우리 먼저 살짝 알아보고 센스 있는 기획자가 되어보자구요! 😉 사실 우린 '진짜' 로그인 상태가 아닐지도? 🤔 우리가 아이디와 비번을 탁! 치고 로그인에 성공하면, 서버는 우리에게 일종의 '자유이용권'을 줍니다. 덕분에..

호학당이 일하는 법/모르는 것과 친해지기 2025. 10. 17. 16:26

프로젝트 설계자

『프로젝트 설계자』벤트 플루비야, 댄 가드너 지음박영준 옮김한국경제신문 p.44-46프로젝트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할 때는 프로젝트의 전체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 생각하는 방법이 유용하다. 조금 단순하긴 하지만, 효과가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기획(planning)이고, 두 번째는 수행(delivery)이다. 산업 분야에 따라 용어는 조금씩 다르다. 영화 산업에서는 ‘개발과 제작’이라고 표현하고, 건설 분야에서는 ‘설계와 시공’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어느 곳에서나 기본적인 개념은 똑같다. 먼저 생각하고, 그다음에 행동하는 것이다.프로젝트는 비전에서 시작된다. 다시 말해 이 프로젝트를 통해 탄생할 멋지고 아름다운 무언가에 대한 막연한 이미지를 그려내는 것이다. 이 비전을..

호학당 이야기/책과 밑줄 2025. 9. 1. 08:16

지능의 기원

『지능의 기원』맥스 베넷 지음김성훈 옮김 / 정재승 감수더퀘스트 p.424-426새들은 태어날 때부터 나는 법을 아는 것이 아니다. 모든 아기 새는 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먼저 날개를 퍼덕이는 것부터 시작해, 하늘에서 맴도는 것을 익히고 활공을 시도하고 충분히 반복해서 연습한 후에 결국 나는 법을 터득한다. 하지만 하늘을 나는 것이 새에게 유전적으로 새겨져 있는 것이 아니라면 어떻게 아기 새가 독립적으로 그런 복잡한 기술을 배울 수 있는가?하늘을 나는 것처럼 복잡한 기술은 유전체에 직접 새겨 넣기에는 정보의 밀도가 너무 높다. 그래서 유전적인 학습 시스템(겉질 등)과 본능(뛰고 싶은 본능, 날개를 퍼덕이고 싶은 본능, 활공을 시도하고 싶은 본능 등)을 내재적으로 부호화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호학당 이야기/책과 밑줄 2025. 8. 8. 08:08

인증, 인가, 그리고 RBAC: UX 기획자를 위한 ‘권한 설계’의 기본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같은 화면을 보고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관리자 설정’ 버튼이 보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감춰져 있죠. 마치 멤버십 라운지처럼, 입장 조건과 내부 공간은 다르게 설계돼야 합니다. 이 차이를 만드는 핵심 개념은 바로 세 가지입니다.인증 (Authentication): “당신은 누구인가요?” — 사용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절차인가 (Authorization): “무엇을 할 수 있나요?” — 권한에 따라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역할 기반으로 권한을 묶어 관리하는 방식 이 용어들은 단순한 개발 개념이 아닙니다. UX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설계 원칙이기도 합니다. 이제, 사용자에게 신뢰를..

카테고리 없음 2025. 7. 31. 16:04

신뢰를 설계하는 UX: 기획자를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3대장 실무 가이드

서비스 기획에서 사용자의 '신뢰'는 가장 중요한 자산입니다.이 신뢰를 구축하는 핵심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어떻게 다루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법적 의무를 준수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는 것,그 자체가 곧 탁월한 사용자 경험(UX)을 구축하는 출발점이자 핵심입니다. 이 글은 UX 기획자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개인정보보호법 3대장「개인정보 보호법」,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핵심을 정리합니다.*이하 개인정보보호법, 위치정보보호법, 신용정보보호법 각 법률의 개념을 비유를 통해 쉽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회원가입, 설정 화면,관리자 시스템(Back-Office, BO)까지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를 ..

호학당이 일하는 법/모르는 것과 친해지기 2025. 7. 23. 16:01

UX 기획자에게 Computational Thinking이 필요한 이유

서비스를 기획하고 설계하다 보면 개발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벽을 느낄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정렬해야 하나요?" "이 데이터의 필수값은 무엇인가요?" "해당 정보는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어야 하나요?" 이런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 분명 간단한 기능이라 생각했는데 구현은 예상보다 훨씬 복잡해집니다. UX 기획 실무에서 이런 일은 흔합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간극이 생길까요?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는 'Computational Thinking'이라는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딩'을 위한 기술이 아니라, 문제를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사고방식'으로서의 Computational Thinking은 UX 기획자에게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호학당이 일하는 법/모르는 것과 친해지기 2025. 7. 11. 15:49

UX 기획 관점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ISMS-P 인증

최근 흥미로운 기사를 접했습니다. 인천 영종도의 인스파이어 리조트가 자랑하는 실내 수영장 '스플래시 베이'의 워터슬라이드가 개장 후 9개월간 운영되지 못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화려한 시설을 갖추고도 정작 핵심적인 즐길 거리를 제공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메가경제 - 인스파이어리조트, 수영장 '스플래시베이'오픈 9개월 만에 '개점휴업' 인스파이어리조트, 수영장 ′스플래시베이′오픈 9개월 만에 ′개점휴업′인스파이어리조트, 수영장 ′스플래시베이′오픈 9개월 만에 ′개점휴업′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모히건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이하 인스파이어)가 자랑하는 실내 수영장 ′스플m.megaeconomy.co.kr 문제는 '허가'에 있었습니다. 해당 시설은 '운동시설'로 허가를 받았지만, 워터슬라이..

호학당이 일하는 법/모르는 것과 친해지기 2025. 6. 22. 18:08

데이터의 생성과 Back-Office

UX 기획을 공부할 때와 실무에서 UX 기획 업무를 진행할 때 가장 크게 느껴지는 차이 중 하나는 바로 'Back-Office(약칭 BO)'의 존재입니다. 대부분의 UX 관련 강의나 책에서는 사용자의 여정, 사용성 테스트 같은 UX 디자인 방법론이나 실제 UI가 구성되는 프론트엔드 화면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가 돌아가려면 일반적인 사용자가 보는 화면 뒤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하는 중심이되는 곳 즉, Back-Office 기획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이 Back-Office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Back-Office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전 우리가 기획하고, 사용하는 서비스의 가장 기본적인 논리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바로 '모든 서비스..

호학당이 일하는 법/조금 아는 거로 있어 보이기 2025. 5. 6. 23: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2
다음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호학당 © HOHAKDANG Corp. All Rights Reserved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