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기획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사용자의 영혼 담긴 외침.
"아니, 로그인했는데! 내 정보 좀 바꾸겠다는데 왜 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거야? 나 못 믿어?!!"
네... 사실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서비스를 만드는 입장에서 사용자를 못 믿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로그인된 환경'을 믿지 못하는 거죠.
이 짜증 나는 화면 뒤에는 사실 사용자의 소중한 정보를 지키려는
개발자들의 눈물겨운 노력이 숨어있답니다.
"그래서 이게 왜 이렇게 된 건데?"라고 개발자에게 물어보기 전,
우리 먼저 살짝 알아보고 센스 있는 기획자가 되어보자구요! 😉
우리가 아이디와 비번을 탁! 치고 로그인에 성공하면,
서버는 우리에게 일종의 '자유이용권'을 줍니다.
덕분에 페이지를 옮겨 다닐 때마다 "저 OOO인데요" 하고 신분증 검사를 안 해도 되죠.
이 자유이용권을 관리하는 대표적인 방식이 바로 세션과 토큰이에요.
근데 이 토큰도 맹점이 있어요.
이 '만능 프리패스'는 주로 우리 웹 브라우저(쿠키나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되는데,
만약 해커가 악성 스크립트로 이걸 훔쳐 가면?
내 아이디/비번을 몰라도 해커가 나인 척 로그인할 수 있는 위험이 생겨요!
여기서 잠깐, 이런 위험한 시나리오도 있어요! 😱
이에 따라 많은 세션 및 토큰 기반의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많은 웹 서비스들이 위험 시나리오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내 정보' 같은 중요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로 접근할 때에는 비밀번호를 한번 더 입력하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한가지 중요한 건, 이 자유이용권이 영원하지 않다는 거예요.
보안상의 이유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땡! 시간 다 됐습니다~" 하고 효력이 사라지거든요.
즉, 내 눈에는 계속 로그인된 화면이 보여도, 서버와의 약속 시간은 이미 끝났을 수 있다는 뜻이죠.
이 개발 지식을 알게 된 우리는 이제 그냥 "불편해요"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더 나은 경험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로그인 후 비밀번호 재입력'은 버그나 실수가 아닌,
사용자를 지키기 위한 아주 정교하고 중요한 약속입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개발자와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사용자의 짜증을 신뢰로 바꿀 수 있는 '센스 있는' UX 기획자가 될 수 있을 거예요!
신뢰를 설계하는 UX: 기획자를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3대장 실무 가이드 (3) | 2025.07.23 |
---|---|
UX 기획자에게 Computational Thinking이 필요한 이유 (1) | 2025.07.11 |
UX 기획 관점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ISMS-P 인증 (3) | 2025.06.22 |
스프레드시트로 앱 만들어보기 (2) | 2024.11.28 |
IT 서비스와 CRUD 원칙 (0) | 2022.04.22 |
댓글 영역